전체 글122 [비트캠프 - 클라우드 기반 AlaaS 개발자 과정] 22.11.30.(DAY-33) TIL 이론 코드 내 이론 파이썬으로 데이터베이스 만들어 넣기 1)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use상태 전환 docker start mysql docker ps docker exec -it bash mysql -u root -p # mysql로 들어감 show databases; create database mydb; # mydb라는 데이터베이스 생성(없으면) use mydb; # mydb로 접속 => 요거 하는 거 show tables # mydb안에 테이블 뭐있는지 확인 => 확인 차 2) 파이참에서 프로젝트 생성 후 DRF(Django Rest Framwork) install하기 내일 물어 봄 3) 테이블 패키지 생성 django-admin startapp [패키지이름] 4) 테이블 패키지에 model.py에.. 2022. 12. 1. [비트캠프 - 클라우드 기반 AlaaS 개발자 과정] 22.11.29.(DAY-32) TIL 1. 점점 성의가 없어진다 어제 질문 웹서버 vs WAS 공통점 :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는 데이터를 제공 차이점: 웹서버는 정적 컨텐츠(html,css,js,이미지,파일) 요청을 수행하며 동적 컨텐츠를 요청할 경우 WAS로 요청을 넘긴다 웹서버 + WAS + DB ⇒ 리눅스웹서버1로 만들꺼 ** Gunicorn = WAS 제품명? 도커파일 ⇒ 컨테이너, 이미지 코드 형태로 되어있어 버전 관리가 용이 이미지의 기능을 파악하기 쉬움 commit 이나 import 로 지정하기 어려운 CMD ENTRYPOIN 등의 유용한 기능 이미지 =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파일과 설정값(immutable) 등을 포함하고 있는 거 ⇒ 메타데이터 in DB 컨테이너 = 이미지를 실행한 상태. mutable한 객체로 한 이미지에.. 2022. 11. 29. [비트캠프 - 클라우드 기반 AlaaS 개발자 과정] 22.11.28.(DAY-31) TIL 1. 끄적 뷰 = select문에 이름을 붙혀 저장한 객체 ⇒ select문은 원래 객체 등록 x ⇒ 함수 갔다 쓰는 거 느낌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일종의 가상테이블 실제로 데이터저장 x 실행시간에만 구체화되는 테이블 웹 서버 vs WAS(웹 어플리케이션 서버) 웹 서버는 정적 컨텐츠(html css js 이미지 파일)만 응답가능한 컨텐츠. 웹서버가 동적 컨텐츠를 요청받으면 WAS에 요청을 넘김 WAS는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다양한 로직 처리 같은 동적 컨텐츠를 수행. 동기식 vs 비동기식 동기식 = 공인인증서 → 순차적 비동기식 = 보안 x → 빠른 처리 Django ↔ DRF(Django Rest Framwork) 우린 DRF만 씀 MSA = MicroService Architecture ↔ MS =.. 2022. 11. 29. [비트캠프 - 클라우드 기반 AlaaS 개발자 과정] 24, 25(DAY-29, 30) SQL쿼리 문제풀이/써먹은쿼리 #order by/asc or desc 정렬 => 칼럼을 오름차순 or 내림차순으로 정렬 #where not x조건 3 => 조건절(where)에 not을 붙혀 아닌 것들을 출력 #case/when/then/else/end 칼럼만들기 => 파이썬의 swich문 느낌인데 이상하게 스칼라(select=출력지정)에서만 쓰고 칼럼만듦. #between and 범위정하기 => 부등호 대신 써먹는 거 #concat(1,2) 문자열합치기 => +나 포메팅 대신 써먹는 거 #inner join/using() 테이블조인 => 기준 테이블과 합칠 테이블(조인 테이블)이 기준칼럼(키칼럼)을 포함에 한 테이블로 같이 출력된다. 단, inner join에 경우 기준칼럼의 데이터 중 교집합에 해당하는 것들과 그에 대응되는 레코만.. 2022. 11. 28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13 ··· 31 다음